수준원점2 대한민국 수직, 수평 위치 기준 해발고도에 관해 궁금한 것이 있어 알아보다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미 아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참조가 될까 하여 포스팅합니다. 1.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 (수평위치 기준점) - 세계측지계를 기반으로 경위도원점을 설정하여 우주측지기준점, 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삼각점을 설치. -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 (국토지리정보원 구내) 2. 대한민국 수준 원점 (수직위치 기준점) - 인천 앞바다의 평균해수면을 기준(0.0m)으로 하여 국토의 높이를 결정하는 기준점 - 인천광역시 남구 인하로 100 (인하공업전문대학) * 수준원점은 총 4점입니다. 내륙 1점(인천), 도서지역 3점(제주도, 을릉도, 독도) 수준점은 수준원점을 출발하여 국도 및 도로에 수준 표석을 설치한 점으로 부근의 높이를 결정하는 .. 2023. 2. 8. 우리나라 해발고도 기준점, 거리의 기준점은 어디일까? 해발고도의 기준점 및 거리의 기준점 우리나라에서 모든 중심점은 서울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지리의 중심도시는 수원과 인천이다. 즉, 해발고도의 기준점이 되는 수준원점은 인천의 인하대캠퍼스에 있으며 거리의 기준점은 수원의 국토정보지리원에 있는 경위도 원점이다. 상식 차원에서 해발고도 및 거리의 기준점을 알아보자. 해발고도의 기준점 해발고도는 바다로부터의 높이로서 그 기준은 0m이다. 그러나 실제로 해수면은 조수 간만이 있어 어느 때를 기준으로 해야 할 지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쓰는 기준면은 만조선(滿潮線)과 간조선(干潮線)의 중간인 평균 해수면을 0m로 잡고 있다. 그러나 이 평균 해수면의 기준점은 실제 있는 것이 아니라 계산상 있는 것이며 해수면 아래에 있어 육지에서 산의 높이를 측량할 때.. 2022. 6.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