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1

(2023년 15차) 석문호흡 신문광고 - 경향신문 1면 ‘석문호흡’ 경향신문 1면 신문광고가 나왔습니다! 한기 35년 6월 7일(태양력 2023년 7월 24일, 月) 경향신문 1면에 게재된 석문호흡 광고 https://youtu.be/U03zTVguI9Y https://youtu.be/cngH7vStKjY https://seokmun.tistory.com/178 [석문호흡 수련체험기] 와식 수련을 마치면서 와식 수련을 마치면서 - 00지원 오00 석문호흡 입문 동기 집사랑(현재 기화신)뿐 아니라 30년 넘는 절친(현재 양신)이 석문호흡에 대하여 여러 번 이야기를 하고 입문을 권유하기도 해서 석문호흡 seokmun.tistory.com 2023. 7. 25.
오늘은 중복(中伏) 날이 많이 덥습니다. 비도 많이 오고, 사건ㆍ사고도 많은 7월이군요. 오늘은 아시다시피 중복입니다. 다들 어이 지내십니까? ^^ 콩물 한 잔 먹고, 청국장으로 더위를 식히고 있으니 건강충만한 하루에 깊은 감사함이 올라옵니다. ^^ 각설하고, 오늘 처음 초복과 중복, 말복의 의미(뜻)를 알게 되었습니다. 엎드릴 복(伏)를 보면 사람인변에 개 견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복날에는 0고기를 먹는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원래 의미는 엎어질 복(伏)이라 하여 엎어질 정도로 더운 날이다라는 의미라고 하는군요. 그런데 어느 분이 보시더니, 엎드린다는 표현을 차분하고 침착하고 무심하게, 그러니까 정기신(精氣神)을 편안하게 하루를 보내는 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듣고 보니 그 말도 일리가 있.. 2023. 7. 21.
자연 살리고 나를 채우는 순환농법 따라잡기 귀농이나 귀촌을 꿈꾸는 사람들, 도시 농부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공통으로 가지는 관심사는 흙을 살리는 농사, 자연과 가장 가까운 먹을거리를 얻는 것이다. 그래서 농약도, 비료도 없이 농사를 짓고 싶어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그처럼 가장‘ 자연스러운’ 농사를 지을 수 있을까? 오로지 자연물로만 농사를 완성한다는 순환농법에서 답을 찾아보자. 자연순환 유기농업 전도사를 자처하는 김윤수 씨(52)를 만난 곳은 제주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그의 집이었다. 제주지만 바닷가보다는 한라산에 더 가까운 곳에 자리 잡은 그의 집은 산 쪽으로 올라가는 좁은 길 끄트머리에 홀로 서 있었다. 집 앞마당과 뒷마당을 온통 뒤덮고 있는 것은 들쭉날쭉 제멋대로 자라난 풀과 뒤섞여 있는 농작물이었다‘. 부지런한 농부는 .. 2023. 7. 21.
음식물쓰레기로 퇴비 만들기 도전 요즘 자연 순환 유기농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런 저런 도전을 해보고 있습니다. 우선 첫 번째로 잔반을 이용하여 퇴비 만들기 입니다. 우선 스트로폼 박스 두개를 준비하여 로테이션하면서 사용 중입니다. 여러 정보들을 접하다보니 여러 방법, 방식, 방편이 있던데 우선 현재 주변에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셋팅을 하였습니다. 1. 흙 상토를 사용하는 존재도 있고, 배양토를 사용하는 존재도 있고, 부엽토를 사용하는 존재도 있고 정말 다양하였습니다. 나는 톱밥이 70%이고 식물성박이 25%, 계분과 미생물이 5% 들어간 '텃밭거름' 을 이웃에게 얻어서 넣어주었습니다. 그 다음에 잔반을 넣었고, 조금 미진한 듯하여 참나무 톱밥과 미강 한 봉지를 넣어두었더니 본격 발효가 시작되었습니다. 발효가 한참 진행될 때 흙에서 열이 .. 2023. 7. 20.
여름철 건강 관리 여름철 더위 건강 관리 잘하고 계시나요?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작고 소소한 건강 관리 방법을 사진과 함께 공유합니다. ^^ 1. 제철 과일은 보약이죠. ^^ 2. 많이 더울 때는 콩국수 한 그릇. ^^ 3. 석문한의원 진료 - 주소 : 경기 수원시 장안구 만석로 241 - Tel. 031-251-1075 2023. 7. 20.
(2023년 14차) 석문호흡 신문광고 - 조선일보 1면 “행공行功, 공功을 행行하다! 하나하나의 동작에 하늘의 빛이 이어져 몸과 마음, 정신이 조화를 이루니 자신의 빛(정기신)이 밝아진다. 공을 행함은 자신의 빛을 밝히는 것이다. 빛을 밝힘에 어려움이 따르니 어려움이 스스로를 밝히고 천지를 밝게 한다.” - 석문도법 https://youtu.be/U03zTVguI9Y 석문호흡 이야기 - 호흡으로 자신의 근본을 찾다. https://youtu.be/mqbC30duz64 #1.석문호흡이란 무엇일까요? What is Seokmun hoheup? 2023. 7. 19.
한인(桓人), 한검(桓檢)의 의미 따라서 현존 인류의 태초는 신명의 '신성의지(神性意志|신명의지)' 가 주가 되어 하늘문화와 문명의 씨앗을 내리고 인간을 교화敎化하며 치화治化하는 시기였다.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지 않은 제정일치, 정교통합의 시대였다. 향후 선천 인간의 문화와 문명의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였으므로 이 시기는 하늘에서 직접적으로 관여를 했다. 한인桓人, 한웅桓雄, 한검桓檢의 시대를 말하는 것으로서 한인의 시대는 신명의 시대고, 한웅의 시대는 신명시대에서 인간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며, 한검의 시대는 인간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석문사상(증보 2판) 245 ~ 246쪽 석문사상 인류의 근원은 무엇인가, 왜 이렇게 존재하고 있으며 그 미래는 무엇일까. 『석문사상』은 이러한 인류의 영원한 질문에 화답하는 책이다. 그 .. 2023. 7. 16.
두 팔과 눈 읽고 돌아온 남편, 꼭 껴안은 아내... 전세계 울린 사진 한 장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두 팔을 잃고 돌아온 남편을 끌어안은 아내의 모습이 전 세계를 울리고 있다. 안톤 게라셴코 우크라이나 내무장관은 12일(현지 시각) 트위터에 “천 마디의 말 대신에”라며 전쟁의 참상을 담은 사진 한 장을 게시했다. 사진에는 한 남성이 두 팔을 잃고 붕대를 감은 채 병상에 누워있으며, 연인으로 보이는 여성은 눈을 감고 다친 남성의 어깨에 기댄 채 끌어안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이 사진은 지난 10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한 병원에서 촬영된 장면이다. 남성은 팔 뿐만 아니라 얼굴도 크게 다쳤으며, 촬영 시점까지도 상처가 아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게라셴코 장관은 “우크라이나 방어군 안드리이는 최전선에서 중상을 입었다”며 “그는 양쪽 팔과 두 눈, 그리고 청각 일부를 잃었다”고 전했다. 이.. 2023. 7. 13.
여의무심 (如意無心) 해가 지면 일하러 가고, 해 지면 쉴 곳을 찾네, 목을 축이는 우물을 파고 먹을 것을 주는 땅을 일구며 거둔 것을 나누네, 왕도 부럽지 않네. - 중국, 기원전 2,500년 2023. 7. 12.
(2023년 13차) 석문호흡 신문광고 - 한국경제신문 1면 ‘석문호흡’ 한국경제신문 1면 신문광고가 나왔습니다! 나는 누구이며,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가? 그 질문에 대한 본질적 답을 찾다. 석문호흡은 정기신 삼수법으로 하늘의 빛과 힘, 가치인 도광신력을 통해 인간의 정기신력을 일깨워 자신의 본래 근본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 정기신력(精氣神力)이란? 몸과 마음, 그리고 하늘의 빛과 힘, 가치가 조화되고 통합되어 만들어진 것이 정기신력입니다. 정기신력은 호흡 수련을 바탕으로 일깨워질 수 있습니다. 한기 35년 5월 24일(태 2023년 7월 11일, 火) 한국경제신문 1면에 게재된 석문호흡 광고 “행공行功, 공功을 행行하다! 하나하나의 동작에 하늘의 빛이 이어져 몸과 마음, 정신이 조화를 이루니 자신의 빛(정기신)이 밝아진다. 공을 행함은 자신의 빛을 밝히.. 2023. 7. 11.
석문도문 (石門道門) 석문도문 (石門道門) 석문도문은 인간이 신神이 되는 후천완성도법인 석문도법石門道法을 근본으로 하늘[天]과 땅[地], 사람[人]이 조화와 완성을 이루고 거듭날 수 있게 본립이도생本立以道生으로 석문도법ㆍ광명대도ㆍ도성구우ㆍ광명천로ㆍ조화광명ㆍ조화선국을 열어 가는 도법단체이자 수도도량이다. 석문도문의 본本과 정체성은 석문도법, 석문사상, 석문도담, 석문호흡을 통해 창조섭리의 3대 목적, 창조섭리의 12대 속성, 창조섭리의 보편적 속성을 자성ㆍ자각ㆍ자혜ㆍ자행하고 3대 정신과 3대 심훈을 바탕으로 석문도인의 창조적ㆍ신성적ㆍ인성적 조화의지를 크고 깊고 넓게 일으켜, 태공 한석문역사桓石門役事의 과정과 절차가 천지인조화역사天地人造化役事 속에서 진법체득한 섭리의 진리적 사실에 따라 3대 실천문화를 직접ㆍ적극ㆍ능동적으로 실천.. 2023. 7. 10.
폐지 줍는 독립운동가 아들 백하 김대락 선생의 후손 '김시진' 삼천석꾼 집안이라고 불릴 정도로 권세와 재력이 대단하였으나, 할아버지와 아버지께서는 이 재산을 전부 처분하고, 독립운동을 위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독립운동가 후손분들을 위한 서명 활동입니다. 독립운동가 후손 분들께 조금이라도 힘이 되어드릴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 보는 것을 어떨까요? ^^ https://www.habitat.or.kr/pages/index2.php?wm_id=122&mg_code=face04 독립운동가 후손 주거개선 캠페인 www.habitat.or.kr 2023. 7. 10.